카테고리 없음

김치의 항암 효과

예이롬 2022. 10. 21. 21:39
반응형
김치의 항암효과

안녕하세요 예이롬입니다.
김치 항암 효과에 대해서 실험한 내용이 있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김치가 유익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지만 항암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과 그를 실험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김치 항암효과 실험

1999년에 부산대 김치연구소에서 연구한 김치의 항암 효과가 처음으로 언론에 발표되었고, 일본에도 가서 그 내용을 발표했었다. 그 때 나는 실험 쥐에 암세포를 이식한 뒤 섭씨5도씨에서 3주간 발효시킨 김치를 투여한 쥐는 대장암 세포의 전이가 40%가량 억제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를 듣고 그 당시 일본 식품 수입업자들은 한해 김치 수출량의 1/3에 해당하는 1460만 달러어치의 김치를 수입하기로 계약했었다. 김치는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쥐의 위 점막 정상세포에 항암 김치를 처리하면 100% 이상 다 생존한다. 그러나 AGS 인체 위암 세포에 김치를 처리하면 70~80%가 사멸된다. 김치는 헴옥시게나아제-1 유전자의 발현으로 정상 세포의 자실이나 염증을 억제하여 정상세포의 안전한 생존을 돕는다. 그러나 암세포에 대해서는 암세포를 사멸하는 유전자를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쥐에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투여하여 위암을 유발시킨 후, 고염 식이를 통해 36주간 이를 진행시켰다. 이후 쥐를 둘로 나누어 한쪽에만 항암 김치를 투여했는데, 항암 김치를 투여하지 않은 쥐는 위암과 위염이 유도되었으나 항암 김치를 투여한 쥐는 위암과 위염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 실험에서 항암 김치는 염증성 유전인자 COX-2와 iNos를 감소시켰고, 대식 세포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베타, IL-6와 MMP-2를 감소시켰으며, 전사 인자와 STAT3와 NF-kB 등도 감소시켰다.
AOM/DSS로 유도된 대장암에 걸린 쥐에서도 항암 김치는 대장의 길이를 길게 했으며, 종양의 개수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알파, IL-6, IFN-감마 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성 유전자 iNOS와 COX-2의 발현을 크게 감소시켜 대장암 발생도 억제했다.

김치는 면역을 조절하며, 건강한 장내환경을 조성한다.

김치를 섭취하면 면역 조절 작용이 더 잘 된다. 항원을 포식하는 대식 세포는 갓 담근 김치를 먹으면 1.5배 활성화된다. 계속된 연구에서 김치는 면역세포 와 대식 세포의 활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암세포와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NK세포'는 일반 김치를 섭취했을 때는 2배 정도 활성화되었으며, 유기농 배추를 이용한 기능성 김치를 섭취했을 때는 4배나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김치의 유산균은 면역을 높이고 대장에서 정장작용을 하여 대장 건강에 중요하다. 김치 1g에는 1억마리의 유산균(하루에 100g을 섭취하면 100억마리)이 들어 있는데, 이것들이 대장에 들어가면 대장 내 유해균을 감소시키고 유익균을 증가시켜 정장작용을 한다. 김치의 유산균과 발효산물은 바이러스 등에 대한 침입을 억제하여 면역 효과를 높인다.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의 부스케 교수는 김치의 주재료인 십자화과 채소와 마늘, 고춧가루 등의 양념인 인체 내 항산화 시스템을 조절하여 코로나 19 증상을 완화시킨다고 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김치와 유산균이 면역조절효과가 높아 병원균 및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있다고 했다.
김치는 대장의 건강을 유지할 뿐 아니라 대장내에서 대장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절한다. 김치를 섭취하면 대장 내에서 김치 유산균의 수가 100배나 증가하고, 베타-glucosidase와 베타-glucuronidase의 활성을 낮추어 대장내에서 발암 물질 생성을 억제한다.
그리고 김치 유산균의 세포벽 물질들은 발암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어서 사멸된 유산균이라도 대장에 많으면 발암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CANCER FREE 암은 없다 38호 中에서>>

김치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최고의 건강식품이라고 할만 하겠습니다. 한국에서 태어나 김치를 자주 접하고 먹을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